728x90
    반응형

    원격 리포지토리에 푸시하지 못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출력 창을 참조하세요.
    Enumerating objects: 2812,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20 threads
    원격 리포지토리에 푸시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Git failed with a fatal error.
    Git failed with a fatal error.
    Out of memory, malloc failed (tried to allocate 388617217 bytes)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send-pack: unexpected disconnect while reading sideband packet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failed to push some refs to

    ~


    해결방법


    설명

    Git http.postBuffer 설정: 대규모 푸시 시 HTTP 버퍼 문제 해결하기

    Git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원격 리포지토리에 푸시할 때, http.postBuffer 설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원격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또는 "mmap failed"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Git이 사용하는 HTTP 버퍼 크기가 제한되어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postBuffer 설정을 통해 대규모 파일 푸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HTTP 버퍼란?

    Git은 데이터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 리포지토리로 전송할 때, 일정한 크기의 버퍼를 사용해 데이터를 나누어 보낸다. 이때, 버퍼 크기가 너무 작으면 대용량 데이터나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송이 중단되거나, 원격 서버가 갑자기 연결을 끊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파일이 너무 커서 HTTP 버퍼를 초과할 때 주로 발생한다.

    http.postBuffer 설정이란?

    http.postBuffer는 Git에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버퍼의 최대 크기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기본적으로 이 값은 1MB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대규모 파일을 푸시할 경우 이 크기를 늘려주면 전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ttp.postBuffer 설정 방법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의 http.postBuffer 크기를 500MB로 설정할 수 있다:

    git config --global http.postBuffer 524288000

    위 명령어는 HTTP 버퍼 크기를 500MB로 설정하여, Git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더 큰 버퍼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대규모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unexpectedly hung up"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언제 이 설정이 필요할까?

    이 설정은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다:

    • 대용량 파일을 포함한 리포지토리를 푸시할 때.
    •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할 때, 데이터가 작은 크기로 나뉘어 전송될 때마다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버퍼 크기를 늘리면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원격 서버에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SSH나 Git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에 HTTP 버퍼 크기 문제로 인해 전송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마무리

    http.postBuffer 설정을 통해 Git이 데이터를 푸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버퍼 크기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대규모 파일이나 데이터 전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서버로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송 중단 문제는 이 설정을 통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규모 리포지토리를 운영하거나 대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경우, 이 설정을 적절히 조정하여 Git 환경을 최적화하자.


    Git 메모리 사용 최적화: 대규모 푸시 문제 해결하기

    Git을 사용하여 대규모 리포지토리를 원격 서버에 푸시할 때,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mmap failed”나 "Out of memory" 같은 메시지가 보인다면, 이는 Git이 푸시할 데이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는 푸시할 파일의 크기와 델타 압축 처리 방식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1. pack.windowMemory 설정으로 메모리 제어하기

    Git은 푸시할 파일을 패킹(pack)하고 델타 압축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때 pack.windowMemory 설정을 통해 Git이 사용하는 메모리 양을 제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Git은 대규모 파일을 처리할 때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하는데, 이 값을 적절히 줄이면 메모리 부족 문제를 피할 수 있다.

    git config --global pack.windowMemory 100m

    위 명령어는 Git이 압축을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100MB로 제한한다. 이로 인해 델타 압축 과정에서 필요한 메모리 양을 줄일 수 있어 메모리 부족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2. pack.packSizeLimit으로 패키지 크기 제한하기

    pack.packSizeLimit 옵션은 Git이 한 번에 패킹할 수 있는 최대 파일 크기를 제한한다. 이 설정을 통해 대규모 파일을 한 번에 처리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메모리 사용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한다.

    git config --global pack.packSizeLimit 100m

    이 설정은 Git이 100MB 이상 크기의 파일을 한 번에 처리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대형 파일을 여러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처리하게 되어 메모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3. pack.threads로 병렬 처리 스레드 수 줄이기

    Git은 기본적으로 푸시할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많은 스레드를 사용할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pack.threads 옵션을 사용하여 병렬 처리에 사용되는 스레드 수를 제한할 수 있다.

    git config --global pack.threads "1"

    위 설정은 Git이 압축 작업을 단일 스레드로 처리하도록 한다. 이는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데 유리하며, 특히 시스템 메모리가 제한된 환경에서 효과적이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