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easurement System Analysisment

     

    측정시스템 분석 방법

    • 분해능 : 계측기의 최소 측정단위는 대상무르이 측정이 가능한 수준인가?
    • Type 1 Study : 계측기의 측정 역량이 기본적인 수준은 넘는가?
    • Type 2 Study : 전형적인 Gage R&R
    • Type 3 Study : 반복성만 고려한 Gage R&R
    • Type 4 Study : 선형성 편의 분석
    • Type 5 Study : 안전성 분석
    • Type 6 Study : 계수형 측정시스템 분석 (강의에서는 제외)

     

     

     

    측정 시스템의 오차 범위가 우리가 감내할 있는 범위인지.

     

    • 측정하는 사람
    • 칙정 기준
    • 측정기
    • 측정 절차

    등등 다양한 측정변동이 존재한다.

     

    가장 영향이 많은 기준

    1. 측정하는 사람
    2. 측정기

     

    ex) 저울에 대한 측정시스템 분석

     

    q1) 측정 대상자를 1? 다수?

    -> 다수!

     

    관측된 값의 변동 = 실제 특성치의 변동 + 측정변동

     

    Gage R&R 반복성과 재현성

    관측되는 변동값에 영향을 주는 변동성과 재현성을 구하는

    Gage R&R

     

    측정 변동의 재현성과 반복성

    재현성 : 특성치의 변동, Reproducibility

    반복성 : 측정기기의 변동, Repeatability (아무 조건도 바꾸지 않고 여러 측정)

     

     

    정확도 : Accuracy (재현성,반복성)

    정밀도 : Precision (편의, 안정성, 선형성)

     

     

    Gage R&R 데이터 구조

     

    Total Variation : Gage R&R + Part-To-Part

     

    Gage R&R : Repeatability + Reproducibility

    Total Gage R&R 작고 Part To Part 클수록 좋은 측정 시스템

     

     

    Gage R&R 평가 기준

     

    Tolerance =  Gage R&R / Total Variation

    -> 1~9 % 이내에 들어와야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 

     

     

    실습

     

     

     

     

     

    [공정 오차 = 1.5 경우]

     

     

    Repeatability 안좋게 나온다면?

      1. 측정자의 숙련도 문제 (R Chart 확인해본다..특정 측정자의 그래프가 튀는지 확인!)
      2. 기기 검교정 문제

     

     

     

    *자료 참고 : https://blog.naver.com/unirone

     

    6시그마 & Data Science : 네이버 블로그

    6시그마, 실험계획법 그리고 빅데이터...

    blog.naver.com

    강사님 강의를 듣다가 블로그를 참조하여 자료 정리를 하였습니다

    혹시 문제가 될시 댓글 남겨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